제주도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사업, 2단계로 확대 추진

  • 등록 2025.10.29 17:10:21
크게보기

제2차 종합계획(2026∼2030) 수립 추진...투자예산은 2배 확대

 

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|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한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, 2026년부터 2030년까지 ‘제2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’을 통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.

 

이번 계획은 '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'과 제주도 조례에 근거해 추진되며, 기후변화 대응과 지역농업 경쟁력 강화를 주요 목표로 한다.

 

제1차 사업에서는 키위, 브로콜리, 메밀, 비트 등 4대 작목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.

 

키위는 국내육성 신품종 ‘감황‘ 재배면적을 21ha로 확대했고, ‘하트골드‘ 브랜드를 출시했으며, 수출량도 1.9배 증가했다.

 

브로콜리는 자체 육성한 ‘삼다그린‘과 ‘한라그린‘ 품종을 현장 보급(54ha)해 종자비를 30% 절감했고, 운송방법 개선으로 물류비도 32% 줄였다.

 

메밀은 연간 30ha 규모의 채종단지를 조성하고, 국산품종 점유율을 26%까지 높였으며, 메밀건면과 커피 등 가공제품을 개발해 특산화 기반을 마련했다.

 

비트는 면역증진 효과를 밝히고, 표준규격을 제정했으며, 20종의 레시피를 개발해 활용도를 높였다.

 

농업기술원은 또한 농식품 가공연구실과 스마트 하우스 시스템을 구축하고, 감압농축기, 동결건조기 등 96종의 장비를 도입해 연구 인프라를 확충했다.

 

제2차 계획에서는 투자 예산을 기존 67억 원에서 138억 원으로 2배 확대하고, 감귤, 키위, 브로콜리, 메밀 등 제주 대표 작목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강화한다.

 

주요 연구 방향은 기후변화 대응 품종 육성, 디지털 육종 및 스마트 관리기술, 부가가치 향상 가공기술 개발이다.

 

‘스마트 관리기술 및 표준 모델 개발(감귤, 키위)‘, ‘기후변화 대응 및 병저항성 품종 육종(브로콜리)‘, ‘기능성분 분석 및 제품 개발(메밀)‘ 등 지역 특성 맞춤형 연구과제가 2026년부터 기술개발 7과제와 기반구축 2사업을 중심으로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.

 

양석철 연구협력팀장은 “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을 통해 제주에 적합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겠다”고 말했다.


[뉴스출처 : 제주도]

스페이스뉴스 기자 edu3997@naver.com
Copyright @스페이스뉴스 Corp. All rights reserved.

주소 :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1205, 미래타운 6층 602호 등록번호: 경기,아53618 | 등록일 : 2023-05-02 | 발행인 : 공부식 | 편집인 : 송명진| 전화번호 : 031-212-3997 Copyright @스페이스뉴스 Corp. All rights reserved.